개발/프론트엔드

State ?state는 리액트에서 앱의 유동적인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있는 객체이다.리액트에서는 유동적인 데이터를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지 않는다.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State() 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state라는 저장공간에 담아 실행한다.state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변한 부분만 재렌더링이 된다. State 동작 원리리액트의 함수형 컴포넌트는 최초에 한번 실행하면서 초기에 설정한 state값을 가진다.// 초기값은 0이다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0);useState()는 구조분해할당을 이용해서 첫 번째에 변경될 값을, 두 번째에 변경하는 함수를 설정한다.위 코드는 state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setState 함수를 호출하..
JavaScript의 ESES란 ECMAScript의 약어로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규격을 의미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값, 타입, 객체와 프로퍼티, 함수 등 핵심 문법을 규정한다.각 브라우저 제조사는 ECMAScript 사양을 준수해서 브라우저에 내장되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구현한다. 자바스크립트는 ECMAScript를 포함하여 브라우저가 별도로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 DOM, Canvas, XMLHttpRequest, fetch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이다. ES5 / ES6 문법변수 선언console.log(a) // undefinedconsole.log(b) // Errorconsole.log(c) // Errorvar a = 0;let b = 1;const c = 2;ES5 및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자바스크립트는 정적 언어와 달리 변수에 타입이 없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 타입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바스크립트가 느슨한 타입의 언어 혹은 동적 언어라 불린다.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개발 속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코드가 길고 복잡해지는 경우 타입 에러를 찾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도 있다.또한 타입 때문에 비교 시에 동등 연산자(==)와 일치 연산자(===)를 구별하여 써야 한다.동등 연산자는 타입에 상관없이 같으면 true를 리턴하고, 0 과 false를 구분하지 못한다.true == 1; // truefalse ==..
leemong
'개발/프론트엔드'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